결혼 자금, 얼마부터 어떻게 모아야 할까? (How Much to Save for Marriage and Where to Start)

2025. 5. 23. 20:19·금융
반응형

결혼은 현실입니다. 감정만으로는 비용을 감당할 수 없습니다

결혼은 두 사람의 시작이자, 동시에 큰 재정 이벤트입니다. 예식장, 예물, 혼수, 신혼여행, 전세자금 등 항목이 다양하고 1천만 원 단위의 비용이 짧은 시기에 집중적으로 발생합니다.

막연하게 생각만 하다 보면 준비 시점을 놓치기 쉽고, 결국 부모님 지원이나 대출에 의존하게 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지금부터라도 결혼 자금의 규모와 구조를 파악하고, 저축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1. 평균 결혼 비용은 어느 정도일까?

2024년 기준 통계에 따르면, 수도권 평균 결혼 비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예식비용: 1,500만 원 ~ 3,000만 원
  • 예물/예단: 1,000만 원 내외 (쌍방 기준)
  • 혼수: 2,000만 원 내외 (가전·가구 포함)
  • 신혼여행: 500만 원 ~ 1,000만 원
  • 전세자금 또는 월세보증금: 지역과 상황에 따라 수천만~수억 원

최소 4,000만 원 ~ 많게는 1억 원 이상까지도 예상할 수 있습니다.


2. 자금 항목을 나누고 목표 금액을 정하세요

막연히 '결혼 자금'을 모으기보다는 항목별로 금액을 나누어 목표 설정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예시)

  • 예식 + 신혼여행: 1,000만 원 목표 → 적금
  • 예물/혼수: 1,000만 원 목표 → 자유 적립식 + 카드 무이자 활용
  • 전세자금: 2,000만 원 이상 → 청년전세대출, 청약통장 + 예치금 저축

1~2년 단기 목표 자금과, 3년 이상 중기 자금은 분리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언제부터 모아야 할까? 빠를수록 좋습니다

결혼 예정 시점이 정해져 있지 않아도, 20대 후반부터는 기본적인 준비가 필요합니다.

  • 청약통장: 빠를수록 좋습니다 (주택 마련 연계)
  • IRP/ISA: 절세형 자산으로 일부 분산 가능
  • 비상금 통장: 결혼 외 비용에도 활용 가능한 유연 자금

특히 양가 부모님의 지원 여부가 불확실하다면, 독립적인 자금 준비가 필수입니다.


4. 실제로는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 월급의 20~30%를 결혼 자금으로 자동이체 → 목적 통장
  • 보너스나 연말정산 환급금 등은 결혼 전용 통장으로 바로 이체
  • 둘 다 맞벌이일 경우, 공동 결혼 자금 통장을 운영하면 효과적입니다

재정 상담이 필요한 경우, 금융앱(뱅크샐러드, 토스) 또는 청년센터에서 무료 상담도 가능합니다.


결론: 결혼 자금은 일찍 준비할수록 선택지가 넓어집니다

결혼이 가까워질수록 돈 걱정은 커집니다. 하지만 미리 준비하면 부담 없이, 선택의 폭을 넓히는 결혼 준비가 가능합니다.

단기적 금액보다 중요한 것은 지속적인 준비 습관과 목적 설정입니다.

'결혼할 때 모으겠다'가 아니라, '결혼이든 인생이든 대비하겠다'는 자세로 준비를 시작해보세요.

지금 당장 통장 하나 만드는 것부터 시작해도 늦지 않습니다.

반응형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ITs 투자 가이드: 부동산 소액 투자 시대 (REITs Investment Guide: Small-Scale Real Estate Investing)  (2) 2025.05.23
채권이란 무엇인가? 안전자산의 오해와 진실 (Understanding Bonds: Myths and Realities of Safe Assets)  (1) 2025.05.23
주식 초보를 위한 계좌 개설부터 첫 매수까지 (Stock Investing for Beginners: From Opening an Account to First Purchase)  (3) 2025.05.23
예·적금과 ETF, 어디에 먼저 투자해야 할까? (Savings vs ETF: Where Should You Start?)  (1) 2025.05.23
급여 자동 이체로 만드는 저축 루틴 (Building a Saving Routine with Auto-Transfers)  (0) 2025.05.23
맞벌이 부부 재정관리 핵심 팁 (Key Financial Tips for Dual-Income Couples)  (2) 2025.05.23
비정기 지출 관리법: 경조사비, 세금, 자동차 유지비 (Managing Irregular Expenses)  (3) 2025.05.23
통장 쪼개기 실전 방법 (Practical Guide to Bank Account Splitting)  (2) 2025.05.23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주식 초보를 위한 계좌 개설부터 첫 매수까지 (Stock Investing for Beginners: From Opening an Account to First Purchase)
  • 예·적금과 ETF, 어디에 먼저 투자해야 할까? (Savings vs ETF: Where Should You Start?)
  • 급여 자동 이체로 만드는 저축 루틴 (Building a Saving Routine with Auto-Transfers)
  • 맞벌이 부부 재정관리 핵심 팁 (Key Financial Tips for Dual-Income Couples)
Dongkkase
Dongkkase
개발자로 일하면서 부딪히는 문제풀이가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길 바라며
    반응형
  • Dongkkase
    정집사의 개발로그
    Dongkkase
  • 전체
    오늘
    어제
    • All (414) N
      • 금융 (35) N
      • Mobile (0)
        • CSS (0)
      • Programing (235) N
        • Algorithm (28) N
        • API (2)
        • javascript (121) N
        • CSS (6)
        • HTML (10)
        • PHP (14)
        • JAVA (27)
        • JSP (17)
        • JSP 예제 (1)
        • IOS (1)
        • Android (1)
        • Sencha Touche (1)
        • bat file, cmd (0)
      • Database (35)
        • SQL (17)
        • MS-SQL (1)
        • MySQL (12)
      • Server (14)
        • Docker (1)
        • Windows (9)
        • Linux (3)
        • jeus (1)
      • IT 일반 (15)
      • 디버깅 (2)
      • 제품 (1)
      • 일상 잡생각 (7)
      • 영화 소개 (11)
      • 음악 소개 (7)
      • 자료실 (6)
      • 낙서장 (12)
      • 위시리스트 (2)
      • Book (17) N
      • WOW (1)
      • 덕 (1)
  • 인기 글

  • 최근 댓글

  • 태그

    js패턴
    디자인패턴
    jsp
    기초
    읽고 싶은 책
    IT블로그
    자바
    IT 관련
    IT·컴퓨터
    SQL
    Java
    위시리스트
    It
    사고 싶은 책
    iT's MY LiFE
    자바스크립트
    자바스크립트유틸
    php
    블로그
    JavaScript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Dongkkase
결혼 자금, 얼마부터 어떻게 모아야 할까? (How Much to Save for Marriage and Where to Start)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